• BLE (Bluetooth Lower Energy)

    • Bluetooth Classic이 지닌 한계 극복
      • BLE 등장 이전 기기들 간의 무선 연결은 Bluetooth Classic 통신을 사용했으나, 이는 배터리 소모가 빠르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.
      • BLE는 Bluetooth Classic과 비교하여 훨씩 적은 전력(Lower Energy)으로도 Classic과 비슷한 수준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.
    • 단점
      • 저전력 환경을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속도가 Bluetooth Classic에 비해 느리다.
      •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스트리밍(예: 고품질 오디오 전송)과 같은 서비스 지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.
  • 블루투스 디바이스는 호환성과 기능에 따라 3가지로 분류된다.

    • Bluetooth Classic

      • BLE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데이터를 송수신할 목적으로 쓰인다.
    • Bluetooth Smart (BLE)

      • 오직 BLE 연결만을 지원하기에 싱글모드 라디오라 불리며, Bluetooth Classic 디바이스와 호환되지 않는다.
      • 듀얼모드 라디오를 가진 Bluetooth Smart Ready 디바이스, 혹은 제조업체에 의해 호환성이 명시된 디바이스에만 연결이 가능하다.
      • 작은 데이터(인슐린 농도, 몸무게, 심박 수 등)를 수집해, Bluetooth Smart Ready 디바이스로 보내기 위해 만들어진 디바이스에 적용된다.
      • 대표적인 BLE 디바이스로 심박 모니터, 스마트 손목시계, 창문 및 현관 보안 센서, 자동차 키 체인, 혈압 팔찌 등이 있다.
    • BLE Smart Ready

      • Bluetooth Classic 과 Bluetooth Smart와의 통신이 가능하기에 듀얼모드 라디오라 불린다.
      • 스마트폰, 노트북, 컴퓨터 등에 적용되어, Bluetooth Classic과 Bluetooth Smart를 이어주는 허브 역할을 한다.

      제목 없는 그림.png