• 고정 IP (Static IP)

    • IP 주소를 고정적으로 할당받는 방식
  • 유동 IP (Dynamic IP)

    • DHCP 서버로 부터 IP를 임시로 할당받는 방식이다.
    • 탄생 기원
      • IP 주소의 부족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를 타결하기 위해, 많은 ISP에서 고정 IP 주소를 부여하는 것을 제한하기 시작
      • DHCP 서버로부터 특정 인터넷 세션 또는 정해진 시간 동안만 임시로 쓸 수 있는 IP 주소를 받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었음
  • 공인 IP (Public IP)

    • 인터넷에서 고유하게 식별되는 IP 주소
    • 지역별로 쓸 수 있는 IP 주소의 범위가 있으며, IP 주소 관리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기관으로부터 할당 받아야 사용할 수 있다.
    • IANA(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)에서 전세계의 IP 주소를 관리하고 있으나,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피라미드형 체계로 업무를 분산한다.
      • IANA -> 각 대륙별 IP 주소 관리 기관(RIR - Regional Internet Registry) -> 각국의 IP 주소 관리 기관 -> ISP(Internet Service Provider) 순서로 IP를 분배한다.
        • 참고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ISP로는 국내의 경우 KT, SK, LG U+ 등이 있다.
      • ISP에서는 다시 지역별로 IP를 나눈 뒤 계약자(개인이나 회사)에게 IP를 할당하는데 이렇게 할당받은 IP가 바로 공인 IP인 것
      • 대한민국의 경우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IP를 분배한다.
        • APNIC(Asia Pacific Network Information Center)로부터 IP를 확보
        • ISP또는 독자적인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일반기관에 할당
        • 일반 인터넷 사용자의 경우, ISP로부터 IP주소를 할당받아 사용
  • 사설 IP (Private IP)

    • IP 주소를 할당받기 위해서는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.
    • 그러나 할당받는 IP가 늘어날수록 비용은 급격히 올라가므로, 어지간한 수준의 기관이 아니라면 대량으로 아이피를 확보하는 것은 쉽지 않다.
    •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사설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(공유기를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원리)
      • 부족한 IPv4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아주 긍정적인 방법으로 평가된다.
      • 단, 사설 IP는 외부와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없으므로 네트워크 주소 변환(NAT) 과정을 거쳐야 함에 유의한다.
  • DHCP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

    • 네트워크에서 IP 주소와 기타 설정(예: 서브넷 마스크, 게이트웨이, DNS 서버 등)을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프로토콜
    •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(컴퓨터, 스마트폰 등)가 IP 주소를 수동으로 설정하지 않아도, DHCP 서버가 자동으로 IP 주소를 부여한다.
    • IP 주소를 중앙에서 관리하며, 이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자가 장치별 IP 주소를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.
    • IP 주소 외에도 서브넷 마스크, 게이트웨이 주소, DNS 서버 주소 등을 자동으로 장치에 제공하여 네트워크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.
  • ISP(Internet Service Provider)

    • 개인이나 회사들에게 인터넷 접속 서비스, 웹사이트 건설, 웹 호스팅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회사
    • 미국의 경우, 전국 및 지역을 커버하는 대형 ISP 들로 AT&T WorldNet, IBM Global Network, MCI, Netcom, UUNet, PSINet 등이 있다.
    • 대한민국의 경우, 통신사인 KT, SK, LG 등이 ISP 역할을 한다.
    • ISP -> WAN -> LAN의 흐름을 통해 인터넷 연결이 제공된다.
      • ISP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로 인터넷 연결을 제공한다.
      • WAN (Wide Area Network)는 ISP가 제공하는 인터넷 연결을 통해 연결된 광역 네트워크이다.
      • LAN (Local Area Network)는 WAN을 통해 연결된 각 가정, 혹은 사무실 내의 로컬 네트워크이다.
  • IP 주소 설정 관련 용어

    • 서브넷
      • 부분망
    • 서브네팅
      • 서브넷을 구성하는 행위
      • 서브네팅을 통해 브로드캐스팅 영역(브로드캐스트 도메인)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.
    • 브로드캐스트 주소
      • 네트워크에서 특정 네트워크 내의 모든 장치에게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특수한 주소이다.
      • 주로 서브넷의 마지막 IP 주소를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사용한다.
      • 서브네팅을 통해 브로드캐스팅 영역을 줄일 시, 주소 절약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.
    • 192.168.63.0/25 서브넷 예시
      • 192.168.63.0
        • 네트워크 주소로 해당 서브넷의 첫 번째 IP 주소를 나타낸다.
      • /25
        • 서브넷 마스크가 25비트로 설정되었음을 의미한다.
        • 네트워크 부분에 25비트를 할당하고, 나머지 7비트를 호스트 부분으로 할당한다.
        • 25비트는 처음 네트워크의 처음 25비트를 네트워크 주소로, 나머지 7비트를 호스트 주소로 사용한다.
        • 따라서 192.168.63.0 기준으로 10101100.10101000.00111111.00000000에서 맨 앞의 25 비트를 네트워크 주소로 사용한다.
        • 이는 곧 192.168.63.0가 네트워크 주소가 됨을 의미한다.
      • 네트워크 주소
        • 맨 앞의 25 비트 -> 192.168.63.0
      • 브로드캐스트 주소
        • 서브넷의 마지막 IP 주소 -> 192.168.63.127
        • 따라서 192.168.63.127에 메시지를 보낼 시, 192.168.63.1 ~ 192.168.63.126 사이의 모든 IP들이 메시지를 받게 된다.
      • 호스트 범위
        • 192.168.63.1 ~ 192.168.63.126
    • 게이트웨이
      • 외부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출입구
      • 라우팅 역할을 하기 때문에 라우터라고도 한다.
        • 특정 하드웨어, 소프트웨어, 컴포넌트 등이 라우팅을 할 수 있다면 이 또한 라우터라고 부른다.
      •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다면, 공유기가 게이트웨이의 IP 주소를 갖게 된다.
      • 보통 서브넷 내에서 첫 번째 사용 가능한 IP 주소를 게이트웨이 주소로 사용한다.
        • 192.168.1.0/24 서브넷을 가정하자
        • 네트워크 주소 -> 192.168.1.0
        • 브로드캐스트 주소 -> 192.168.1.255
        • 첫 번째 사용 가능한 주소는 192.168.1.1이므로 해당 주소가 공유기의 기본 IP 주소로 설정된다.
    • 기본 설정 DNS
      • DNS 서버의 IP 설정을 의미한다. (참고로 DNS는 Domain Name System으로,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을 의미한다.)
      • 예를 들어 구글의 공용 DNS 서버 주소인 8.8.8.8 입력 시, 구글의 DNS 시스템을 통해 웹 사이트의 도메인에 대응하는 IP 주소를 조회할 수 있게 된다.
      • 구글 뿐만 아니라 통신사 DNS를 사용할 수 있으며, 기본 DNS 외에 보조 DNS 또한 선택 가능하다.
        • KT olleh
          • 기본 DNS 서버 주소 : 168.126.63.1
          • 보조 DNS 서버 주소 : 168.126.63.2
        • Google
          • 기본 DNS 서버 주소 : 8.8.8.8
          • 보조 DNS 서버 주소 : 8.8.4.4